728x90

분류 전체보기 125

15. Python - 불 대수

불 대수 일상적인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 일반 수학의 값, 숫자 -> 0,1,2,999... 불 대수의 값, 진리값 -> true, false 일반 수학의 연산 -> +, -, *, /, %... 불 대수의 연산 -> and, or, not 명제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이다 -> 참인 명제 2는 1보다 작다. -> 거짓인 명제 한국의 수도는 어디입니까? -> 명제가 아님 김태희는 예쁘다 -> 명제가 아님 AND연산 - x와 y가 모두 참일 때만 x AND y가 참 x - true, y - true -> x AND y - true x - false, y - true -> x AND y - false OR연산 - x와 y 중 하나라도 참이면 x OR y는 참 x - true, y - true -> x O..

Codeit/Python 2022.12.07

14. Python - 문자열 포맷팅을 하는 다양한 방식

우리는 앞서 format 메소드를 이용한 문자열 포맷팅을 배웠습니다. 하지만 사실 파이썬에는 문자열 포맷팅을 하는 방법이 몇 가지 더 있습니다. 각각 간단하게라도 소개드리겠습니다. 가장 오래된 방식 (% 기호) name = "최지웅" age = 32 print("제 이름은 %s이고 %d살입니다." % (name, age)) 제 이름은 최지웅이고 32살입니다. 이제는 잘 쓰지 않는, 옛날 방식입니다. %s, %d와 같은 '포맷 스트링'이라는 것을 사용하는데요. C나 자바 등 많은 언어들에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문자열 포맷팅을 합니다. 현재 가장 많이 쓰는 방식 (format 메소드) name = "최지웅" age = 32 print("제 이름은 {}이고 {}살입니다.".format(name, age)) ..

Codeit/Python 2022.12.06

13. Python - format 다루기

print("저는 {}, {}, {}를 좋아합니다!".format("마신", "가이아", "리퍼")) # 이걸 순서를 바꾸고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? print("저는 {1}, {0}, {2}를 좋아합니다!".format("마신", "가이아", "리퍼")) # 순서대로 마신 = 0번, 가이아 = 1번, 리퍼 = 2번인데, 중괄호 안에 숫자를 써주면 그 순서대로 출력이 된다. num_1 = 1 num_2 = 3 print("{0} 나누기 {1}은 {2}입니다.".format(num_1, num_2, num_1 / num_2)) # 그런데, 여기서 0.33333을 소숫점 둘쨋 자리로 반올림 하고싶다면? print("{0} 나누기 {1}은 {2:.2f}입니다.".format(num_1, num_2, num_1 ..

Codeit/Python 2022.12.06

22/12/05

오늘은 format을 이용한 문자열 포맷팅을 배웠다... 너무나도 정신없는 하루여서 공부를 더 하지 못한.. 아니 안 한 나 자신에게 실망했다. 점심으로 콩나물제육?을 먹고 저녁으로 집에서 오겹살 구워 먹었다. 고기는 항상 굽고 상 차리고 하는 과정이 귀찮지만 먹을 땐 너무 행복하다 치울 때도 번거롭지만.. 몸상태가 안 좋아서 코로나인 줄 알았는데 딱히 그런 건 아닌가? 싶기도 하다.. 열은 안 나고 목만 아프고 기침하는데 회사에서는 또 기침 안 함.. 그냥 집에 먼지가 많나 보다.. 사수분께서 연말에 뭐 할 거냐고 나에게 물어봤는데 딱히 할 게 없어서 "어.. 로스트 아크요?" 하니까 빵 터지셨다. 생산적인 활동을 하라고 하셨지만.. 난 비생산적인 인간인걸. 오늘도 힘냈다 내일도 힘내자 한국 16강 파이팅

Codeit/학습일지 2022.12.06

12. Python - format을 이용한 문자열 포맷팅

# format을 이용한 문자열 포맷팅 # 오늘은 2022년 12월 5일입니다. year = 2022 month = 12 day = 5 # print("오늘은" + year + "년" + month + "월" + day + "일입니다.") # 형 변환이 없어 오류가 생김 print("오늘은 " + str(year) + "년 " + str(month) + "월 " + str(day) + "일입니다.") print("오늘은 {}년 {}월 {}일입니다.".format(year, month, day)) # format을 이용한 문자열 포맷팅 date_string = "오늘은 {}년 {}월 {}일입니다." print(date_string.format(year, month, day + 1)) # 이렇게 쓰는것도 가..

Codeit/Python 2022.12.06

22/12/04

오늘은 형 변환에 대해 공부했다. 이렇게 차근차근 배워가다가 결국 이전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 단계가 분명 올 것인데 이렇게 기록을 해놓는다면 다시 찾아가기 쉬울 거라는 희망을 가져본다. 나태한 주말이었다.. 집안 청소하고 고기를 구워 먹었다 그것만으로 행복하더라 일 하면서 항상 졸음이 몰려온다고 상담하니까 의사 선생님께서 졸린 약이 뭔지 주말 동안 찾아보자고 약을 나눠서 먹어보라 그랬는데 일요일에 깜빡했다..ㅋ 그래서 뭐가 졸린 약인지 확실치가 않다... 망해버렸어 컨디션은 날로 좋아지고 있는 것 같다. 이상태로 적응해나간다면 22년도의 마무리를 잘할 수 있을 것 같다.

Codeit/학습일지 2022.12.04

11. Python - 형 변환

print(int(3.8)) # 여기서 이 int는 정수의 줄임말, 괄호 안의 값을 정수형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함 print(float(3)) # float는 소수를 나타내는 말, 괄호 안의 값을 소수형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. print(int("2") + int("5")) #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바꾸게 되어 정수형2와 정수형5의 덧셈이 출력이 된다. print(float("1.1") + float("2.5")) # 문자열을 소수형으로 바꾸게되어 소수형의 덧셈이 출력이 된다. print(str(2) + str(5)) # str은 string의 줄임말, 괄호 안의 수를 문자열로 변환한다. age = 7 print("제 나이는 " + str(age) + "살입니다.") # print(int("He..

Codeit/Python 2022.12.04

22/12/03

오늘은 숫자형 심화와 문자열을 배웠다. 파이썬에서는 이런식으로 동작하는구나..라는걸 깊이 새기는 중이다. 오늘도 꾸준히 뭔가를 해서 뿌듯하다 별 거 하진 못했지만 말이다. 목표를 사소하게 잡아 놓으니까 부담도 덜고 "에이 귀찮아도 그래도 하자 얼마 하지도 않는거" 라는 생각으로 꾸준히 달려..걸어보고있다. 주말은 너무나도 빠르게 지나간다. 아침엔 눈이 왔다는데 난 보질 못했고 금새 녹아 없어졌나보다 날이 추워 모기가 없다는 사실이 아주 마음에 든다.

Codeit/학습일지 2022.12.03

10. Python - 문자열

# String print("코드잇") # 따옴표는 코드 내에서 문자열이라고 표시해주는 역할이라 출력시에는 나타나지 않음 print("신슈") print("I'm excited to learn Python!") # print("I'm "excited" to learn Python!") # 문자열 안에 작은따옴표,큰따옴표가 다 있으면 어떻게 해야할까? (오류가 날 때) print("I\'m \"excited\" to learn Python!") # 역슬래시를 이용하여서 이 따옴표들이 의도된바라는걸 알리면 오류가 나지 않는다. print("Hello" + "World") # 문자열의 덧셈 print("Hello" * 3) # 문자열의 곱셈 print("3" + "5") # 문자열 "3"과 "5"의 덧셈이라 ..

Codeit/Python 2022.12.03